역사적교육사회학의쟁점과방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도봉구의원 조회 78회 작성일 2023-01-17 19:52:19 댓글 0

본문

**교육사회학_Ch1 교육사회학의 발달 (11분)

Pro Cho -
Development of Educational Sociology

[ 교육학 / 교육사회학 ] 신교육사회학 영(Young) - 단권화 (신교육사회학 - 개관) / 키워드 : 교육과정사회학, 지식의 계층화, 높은 지위가 부여되는 지식, 신교육사회학

[ 교육학 - 학자 관련 개념, 이론 단권화 ] 각 학자와 이론들은 '개론서(전공서)에서 어떤 내용들로 수록'되어 있을까요? 해당 학자(이론)와 관련되어 수록된 내용을 몽땅 담아 "단권화"하였습니다.
- 오늘의 주제 : '영(M.F.D.Young)' - 신교육사회학, 교육과정사회학, 지식의 계층화, 높은 지위가 부여되는 지식

- 참고한 책(전공서)
1) 김신일(2015) : 『교육사회학』(교육과학사) 제5판
2) 손준종(2001) : 『교육사회학』(문음사)
3) 김종두(2013) : 『교육사회학』(교육과학사)

- 시작(개관) 시 마인드맵
: 임용 준비(고시생) 시기에 해당 강의를 보고 필기한 것을 스캔하여 사진 파일로 옮겼습니다.
: 출처 = 유튜브(동영상) - 2018년 권지수 교육학 논술 교육사회학 Thinking Map강의(https://www.youtube.com/watch?v=7nvy4BVmeiQ)

- 제작 이유
: 임용시험을 준비하면서, 늘 요약되어 출판된 수험서만 본다면 놓치는 개념이 있지는 않을까 두려움에 떨었습니다. 이제 그 두려움을 덜고자 관련 개론서(전공서)에 실린 '학자(이론)'와 관련된 내용을 모두 담아 "단권화"하여, 각 이론과 개념들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미래 유아학교 에듀테크 교육의 쟁점과 과제

육아정책연구소는 "미래 유아학교 에듀테크 교육의 쟁점과 과제"를 통해 미래 유아학교 에듀테크 교육의 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습니다.
연구책임자인 박창현 연구위원이 발표하는 에듀테크 교육의 정책 방향 및 과제는 무엇인지 영상보고서를 통해 확인하세요!

홈페이지: https://www.kicce.re.kr
블로그: https://blog.naver.com/kicce1s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KICCE1
트위터: https://twitter.com/KICCE2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33G4GX9rLe53_X25tpeSvg
네이버TV: https://tv.naver.com/kicce

... 

#역사적교육사회학의쟁점과방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2,122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kdepri.re.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help@ggemtv.com